맨위로가기

수 문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 문제는 중국을 통일하고 수나라를 건국한 황제이다. 그는 북주에서 권력을 장악한 후, 581년 황위에 올라 진나라를 멸망시켜 중국을 통일했다. 수 문제는 과거제, 균전제 등을 실시하고 검소한 정치를 펼쳤으나, 말년에 실정을 저질렀고, 아들 양광에게 시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주의 섭정 - 우문호
    우문호는 남북조 시대 서위 및 북주의 권신으로, 우문태의 조카로서 효민제를 옹립하여 북주 건국에 기여했으나 효민제와 명제를 폐위 및 살해하고 무제에 의해 암살당했으며, 폭정으로 비판받지만 북주 국력 신장에 공헌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 541년 출생 - 위현
    위현은 남북조 시대부터 수나라를 거친 관료이자 군인으로, 수나라에서 양현감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위무에 능한 관리로 평가받았다.
  • 541년 출생 - 고장공
    고장공은 북제 황족이자 용맹하고 인품이 뛰어난 명장으로 란릉왕에 봉해졌으며 금용 전투에서의 용맹과 업적을 기리는 란릉왕입진곡으로 이름을 알렸으나 황제의 질투로 독살당해 비극적인 삶을 마감했다.
  • 수나라의 불교 신자 - 지의
    지의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승려이자 천태종의 개조로, 혜사의 문하에서 지관법문과 북방계 교리를 익히고 천태교리를 확립했으며, 사선정 수행 체계를 발전시키고 불교 교리를 체계화하여 동아시아 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수나라의 불교 신자 - 문헌황후
    독고신(獨孤信)의 딸이자 수 문제의 황후인 문헌황후 독고씨는 수나라 건국 후 황후가 되어 검소한 생활과 정치 참여로 '이성(二聖)'으로 불렸으나, 강한 질투심과 후계 구도에 깊이 관여했다.
수 문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당나라 화가 염립본의 수 문제 초상화
당나라 화가 염립본(약 600–673)의 수 문제 초상화
양(楊, Yáng)
견(堅, Jiān)
묘호고조(高祖, Gāozǔ)
시호문황제(文皇帝, Wén Huángdì, 문덕)
생년월일541년 7월 21일
출생지장안(長安), 서위
사망일604년 8월 13일
사망지인수궁, 바오지, 수나라
능묘태릉(泰陵)
통치 정보
재위581년 3월 4일 ~ 604년 8월 13일
연호개황(開皇): 581년 ~ 600년
인수(仁壽): 601년 ~ 604년
왕조수나라
가족 관계
부친양충
모친여씨 부인
배우자문헌황후
자녀양용
양광
양준
양수
양량
낙평공주
상공주
광평공주
난릉공주
완안공주
기타 정보
수 왕 즉위581년 1월 3일 ~ 581년 3월 4일

2. 생애

2. 1. 어린 시절

양견은 541년 서위의 수국공이자 대사공인 양충과 여씨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다.[21][22][23] 어릴 때 이름은 금강나라연이었으며, 성인이 된 후에는 보륙여라는 이름을 사용했다.[21][22][23] 양견의 가문은 한족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나,[3][4][5][6][7] 수나라 건국 후에는 선비족의 성인 보륙여씨로 성을 회복하였다.[24][25][26] 양견은 어린 시절을 핑이의 불교 사원에서 보냈으며, 지선이라는 비구니의 보살핌을 받았다.[9] 14세 때 우문태 휘하의 군대에서 복무를 시작했다.[10]

557년, 양견은 독고신의 딸 독고가라와 결혼하였다.[9] 이후 양충의 업적을 인정받아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568년 양충이 사망한 후 수국공의 작위를 물려받았다.[9] 573년에는 딸 양려화가 북주 선제 우문윤의 황태자비가 되면서 더 큰 영예를 얻었다.[9]

2. 2. 권력 장악

양견은 14세에 경조윤 설선에게 불려가 공조가 되었다.[12] 15세에 아버지 양충의 공적으로 산기상시, 거기대장군, 의동삼사가 되었고, 성기현공에 봉해졌다.[12] 16세에 표기대장군으로 전임되었고, 개부의동삼사의 지위를 받았다.[12] 북주 명제가 즉위하자 우소궁백이 되었고, 대흥군공으로 진급했다.[12] 무제가 즉위하자 좌소궁백으로 전임되었고, 수주자사로 나가 대장군으로 진급했다.[12] 아버지 양충 사후, 수국공 작위를 이었다.[12]

북주 무제에게 수주(隨州)자사 벼슬을 받았고, 양충 사후 수국공을 습작했다.[12] 북제 평정에 전공을 세워 주국으로 진급하고, 정주총관에 임명되었다.[12] 이후 박주총관으로 전임되었다.[12] 573년, 큰딸 양여화를 북주 황태자 우문윤에게 시집보내 정치적 실권을 행사했다.[12] 578년, 양견은 장녀 양려화를 북주의 선제의 황후로 세웠고, 자신은 상주국・대사마가 되어 권력을 휘둘렀다.[12]

579년, 대후승, 우사무가 되었고, 대전의로 전임되었다.[12] 580년 5월, 양주총관이 되었으나, 선제가 사망했기 때문에, 양견은 정제 아래에서 좌대승상이 되어 북주의 실권을 장악했다.[12] 6월 이후, 위지경, 사마소난, 왕겸 등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양견은 이를 무력으로 진압했다.[12] 9월에는 대승상이 되었고,[12] 12월에는 상국, 총백궤, 도독내외제군사, 수왕(隋王)으로 올랐다.[12]

581년 여름, 선제(宣帝)가 진(陳)나라를 정복하려 하자, 양견(楊堅)을 양주 (揚州, 대략 현대의 루안시, 안후이성)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진나라를 공격할 준비를 시켰다.[12] 그러나 양견이 출발하기 전에 선제가 갑자기 심각하게 병들었다.[12] 선제의 측근인 유방(劉昉)과 정역(鄭譯)은 양견의 친구였는데, 다른 측근인 안지의(顏之儀)가 선제의 숙부인 조왕(趙王) 우문조(宇文招)를 섭정으로 임명하려는 바람을 무시하고, 양견을 궁궐로 불러 섭정 역할을 하도록 준비시켰다.[12] 선제는 곧 죽었고, 정(鄭)과 유(劉)는 선제의 이름으로 양견을 섭정으로 임명하는 조서를 발표했다.[12]

양견은 즉시 선제의 낭비와 잔혹한 정책을 폐지하여 수도의 관리들을 기쁘게 했고, 스스로 근면함과 검소함을 보여 백성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12] 당시 상주(相州, 대략 현대의 한단시, 허베이성) 사령관이었던 위치경의 의도를 두려워하여 그를 수도로 소환했다.[12] 그러나 위지경은 거부했고, 양견이 왕위를 찬탈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믿고 상주에서 양견에 대항하여 봉기했다.[12] 그는 훈주(勛州, 대략 현대의 샤오간시, 후베이성) 사령관 사마소난(司馬消難)과 익주 (대략 현대의 청두시, 쓰촨성) 사령관 왕겸(王謙)의 지원을 받았다.[12] 그러나 위지경이 반란을 일으킨 지 68일 만에 장군 위소관이 위지경을 격파했고, 위지경은 자살했다.[12] 왕겸 역시 곧 패배했고, 사마소난은 진나라로 도망쳤다.[12] 양견은 예성 (북제의 옛 수도)이 자신에 대한 반대 세력의 기지로 다시 사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예성을 철거했다.[12]

위지경의 반란 기간 동안, 비왕(畢王) 우문현(宇文賢)과 우문조와 같은 주(周)나라 왕족들이 양견을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했다.[12] 이에 양견은 우문현, 우문조, 그리고 조왕의 동생인 월왕(越王) 우문성(宇文盛)과 그들의 아들을 죽였고, 위지경이 패배한 후 우문 씨족을 본격적으로 학살하기 시작했다.[12] 그는 또한 문제(민제)에게 자신의 칭호를 빠르게 승진하도록 했고, 자신의 성씨를 양씨로 되돌렸다.[12]

다음 해 581년 2월, 정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황제에 즉위하여 수조(隋朝)를 열었다.[12] 같은 달 중, 우경칙의 진언을 받아 문제 우문태의 손자인 초공 우문건윤, 기공 우문현, 효민제 우문각의 아들인 기공 우문식, 명제 우문육의 아들인 풍공 우문정, 송공 우문실, 무제 우문옹의 아들인 한국공 우문찬, 진국공 우문지, 조국공 우문윤, 도국공 우문충, 채국공 우문태, 형국공 우문원, 선제 우문윤의 아들인 래국공 우문간, 영국공 우문술 등, 북주의 황족 우문씨 일문을 다수 살해했고[12], 5월에는 개국공으로 강봉되어 있던 우문천을 암살했다[13]

2. 3. 개황의 치

문제는 황제가 되자마자 통일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당시 남조 진나라의 황제 진숙보는 사치와 방종에 빠져 있었고, 간신들의 참소만 들어 나라가 크게 피폐해진 상태였다. 양견은 차남인 진왕 양광에게 군사를 주어 진나라를 공격하게 했고, 589년 진나라를 멸망시켜 통일을 달성했다.

문제는 세금을 적게 걷고 대운하 공사를 중단하는 등 백성의 고통을 덜어주려 노력했다. 과거제를 실시하여 중앙집권제를 강화하고 귀족 세력을 억제했으며, 백성에게 균등하게 토지를 지급하는 균전제를 실시했다. 양견은 검소한 생활을 실천하여 국고를 풍족하게 하고 백성들의 삶을 안정시키려 했다.

묘지 수호상, 수나라


또한 양견은 개황율령을 발표하여 제도를 정비하고 관제를 정비했는데, 이는 훗날 당나라 율령의 기초가 되었다. 587년 구품중정제를 폐지하고 선거제를 실시했는데, 이는 과거제의 전신으로 당나라 제도에 영향을 주었다. 조용조 제도를 정비하여 훗날 당나라 조세 징수 체제의 기반을 닦았다.

대외적으로는 돌궐을 압박하고 고구려에 30만 원정군을 보냈으나, 고구려 영양왕이 먼저 요서 지역을 선제 공격하여 원정군이 전멸하였다.

수서(隋書)에는 문제(文帝)가 유교에서 호의를 거두고 "법가와 권위주의적 정부를 옹호하는 집단"에게 주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1] 문제는 북주(北周)의 6부(六部) 정부 조직을 폐지하고 대신 5개의 주요 부서, 즉 집행부(尚書省), 심사부(門下省), 입법부(內史省), 황실 도서관, 환관 부서(內侍省—'입법부'와 다른 어조와 문자를 사용함)를 설립했으며, 2개의 추가 독립 기관, 11개의 기타 독립 부서, 12개의 군사 사령부를 설립했다.

581년, 문제는 진(陳)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명령했고, 처음에는 성공적이었지만, 진 선제가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황제가 사망한 국가를 공격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판단하여 582년 봄에 공격을 철회했다.

582년, 장안(長安)이 너무 작은 도시라고 믿은 문제는 근처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했고, 그 이름을 대흥(大興)이라고 지었으며, 583년 봄에 수도를 대흥으로 옮겼다. (그때부터 대흥과 장안은 상호 교환 가능한 이름이 되었지만, 후대의 당나라 시대에 이르러 새로운 수도는 다시 장안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584년 여름, 위수가 모래톱과 위험한 물 때문에 대흥으로의 식량 수송 경로로 너무 어려워지고 있다고 믿은 문제는 관료 우문개(宇文愷)에게 대흥과 동관 사이에 위수와 평행한 운하인 광통거(廣通渠)를 건설하도록 위임하여 수도 지역 관중으로의 식량 및 기타 물품 수송을 크게 용이하게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84년 가을에 관중에서 기근이 발생하여 문제는 잠시 낙양에 거주했다.

587년 봄, 운하 건설 체제를 이어가면서 문제는 장강과 회하 사이에 산양독(山陽瀆)을 건설하여 두 강 사이의 물질 수송을 개선했다.

589년 봄, 수(隋)의 장군 하약필(賀若弼)은 경구(京口, 현대의 진강, 장쑤성)에서 장강을 건넜고, 수의 장군 한금호(韓擒虎)는 채석(采石, 현대의 마안산, 안후이성)에서 장강을 건넜다. 한편 양소는 서쪽에서 장강을 따라 진격하고 있었고, 양준은 장강 중부 지역에 주둔하여 진(陳)의 수도 건강을 지원할 수 있는 진군을 차단했다. 하약필은 곧 건강을 막기 위한 마지막 시도를 하고 있던 진(陳)의 장군 소마하를 격파하여 포획했고, 건강은 직후 함락되었다. 진숙보는 체포되었지만 해를 입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그의 일족들과 함께 장안으로 이송되었고, 거기서 문제는 그들을 존경받는 손님으로 대했다. 일부 진(陳) 장군들은 잠시 저항했지만, 곧 수(隋)가 통제했다. 남북조 시대는 끝나고, 수는 중국을 통일했다. 유치경의 패배 이후 예성을 무너뜨린 것처럼, 문제(文帝)는 건강을 무너뜨리고 인근 석두에 강주(蔣州)라는 작은 주둔지만 설치했다.

양견은 대흥성(후의 장안)을 도읍으로 정했다. 그리고 587년에는 후량을, 589년에는 을 멸망시켜, 서진 멸망 이후 약 300년 동안 혼란이 끊이지 않았던 중국 전토를 통일하는 데 성공했다. 598년에는 고구려를 상대로 제1차 고구려 원정을 감행했다.

2. 4. 황태자 책봉 문제

문제 양견은 처음에는 자신의 장남 양용을 황태자로 삼았다. 그러나 양용은 여색에 빠지고 사치스런 생활을 즐겨 행실이 문란했다고 한다. 거기다 태자비가 죽었는데도 수수방관하자 평소 양용을 싫어했던 독고황후는 양견에게 태자를 바꾸라 주청했다. 결국 600년에 양용은 황태자에서 폐위되고 차남 양광이 황태자에 올랐다.

602년에 독고황후가 죽자 양견은 다시 양용을 황태자로 세우려 했다. 그러나 당시 양광을 받쳐주던 세력인 양소와 우문술 등이 극구 만류하여 양견은 일단 이를 유보하였다.

2. 5. 말년의 실정

수 문제는 자신이 직접 제정한 개황율령(開皇律令)을 무시하고 형벌을 남용했다. 또한 백성들을 동원하여 인수궁(仁壽宮)을 짓는 등 토목 공사를 남발했다. 이러한 과도한 토목 공사는 백성들의 고통을 가중시켰다.

문헌황후 독고씨(獨孤氏)의 질투로 인해 후궁을 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이로 인해 고경 등 충신들이 죽임을 당하는 빌미를 제공했다. 독고씨는 수 문제가 다른 여인과 관계를 맺는 것을 극도로 싫어했으며, 이는 수 문제가 유치지웅의 손녀와 관계를 가진 후 그녀를 죽이는 사건으로 이어졌다.

문헌황후 사후 수 문제는 정신적으로 피폐해져 병으로 눕게 되었다. 이 시기, 양광의 야심을 담은 문서가 양견의 손에 들어가면서, 양견은 양광을 폐서인하려 했다.

2. 6. 비극적인 최후

604년, 양견은 병이 위중하여 양광은 조정의 수장인 양소와 부황 시해를 모의하였고, 이 와중에 자신이 사모하던 선화부인 진씨를 범했다. 선화부인 진씨는 양견의 후궁이었는데, 자신의 아들이 자신의 후궁을 범하였다는 소식을 들은 양견은 크게 노하여 양광을 불러들이고 폐황태자인 양용을 다시 황태자에 앉히려 하였다. 유술과 원암에게 양용을 데려오도록 하였으나, 이 소식을 들은 양광은 장형과 모의해 쿠데타를 일으켰다. 그날 밤 양견은 양광의 심복이자 자신의 근위장 장형에게 시해당했고, 양용 역시 양광의 근위장인 우문지급과 양소의 동생 양약에게 목이 졸려 살해당했다. 양견의 향년 64세였다.

묘호는 고조(高祖)이고 시호는 문황제(文皇帝)이며 능호는 태릉(太陵)이다. 대부분의 전통적인 역사가들은 문제가 병에 걸려 있을 때 양광이 진비를 강간하려 했다는 이야기를 전하고 믿고 있다. 진비가 양광의 강간 시도를 문제에게 보고하자, 그는 화가 나서 관리 유술과 원암 용구공에게 양용을 소환하여 복위시키려 했다. 양광은 이 사실을 알고 양수와 연합하여 유술과 원암을 체포한 후, 그의 측근 장형을 보내 문제를 죽이게 했다.

3. 가계

문제 문헌황후 文獻皇后 河南獨孤氏중국어, 이름 갈라(伽羅중국어; 544–602)


  • 낙평공주(樂平公主중국어; 561–609), 이름 려화(麗華중국어), 첫째 딸
  • 573년 우문윤(559–580)과 결혼하여 자녀 1명(딸)을 낳음
  • 상공주(襄公主중국어), 둘째 딸
  • 하양공 이장야와 결혼
  • 방릉왕 양용(房陵王 楊勇중국어; 568–604), 첫째 아들
  • 양광(煬皇帝 楊廣중국어; 569–618), 둘째 아들
  • 광평공주(廣平公主중국어), 셋째 딸
  • 안덕공 우문정례와 결혼하여 자녀 2명(아들)을 낳음
  • 진효왕 양준(秦孝王 楊俊중국어; 571–600), 셋째 아들
  • ''넷째 딸''
  • 촉왕 양수(蜀王 楊秀중국어; 573–618), 넷째 아들
  • 란릉공주(蘭陵公主중국어; 573–604), 다섯째 딸
  • 580년 왕봉효(d. 583)와 결혼
  • 585년 하동 유술과 결혼
  • 양량(漢王 楊諒중국어; 575–605), 다섯째 아들
  • 선화부인(宣華夫人 潁川陳氏중국어; 577–605), 영천 진씨
  • ''용화부인'' 채씨(容华夫人 蔡氏중국어)

3. 1. 조상

수 문제는 후한의 저명한 정치가인 양진의 14대 손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확실하지 않다.[14][15][16] 수 문제의 고조부 양원수북위 초에 무천진(武川鎮)의 사마가 되었다. 무천진은 북위의 북방 방어 요충지인 육진(六鎮) 중 하나로, 선비족 엘리트들이 배치되었던 곳이다. 육진의 난 발발 이후, 이 무천진 출신 우문태가 서위·북주를 세웠고, 수나라당나라의 지배 집단도 이 무천진 군벌 출신 및 그 자손이 대부분이었다.

양원수 이후의 계보는 역사적 사실로 인정받고 있지만,[14][15][16] 그 이전의 계보는 후대에 덧붙여진 것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14][15][16]

수 문제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 열조부: 양현
  • 현조부: 양원수
  • 고조부: (추존) 태원부군 양혜하
  • 증조부: (추존) 강왕 양렬[27]
  • 조부: (추존) 헌왕 양정[28]
  • 조모: (추존) 헌왕비 개씨
  • 부황 : (추존) 태조 무원황제 양충[29]
  • 모후 : (추존) 원명황후 여고도


수 문제의 추존된 조상들 중 태조, 헌왕, 강왕은 북주의 제후국 수 공국(公國)의 군주이거나 추존된 자들이다. 수 문제가 황제로 즉위하면서 군주의 칭호가 황제로 격상되자 그에 맞추어 1급씩 격상되었다. 양혜하는 수 공국의 군주로 재위하거나 추존되지 않았기에 존령(尊靈)으로만 추존하고 종묘에만 배향하였다. 양원수 이상의 조상들은 일률적으로 추존되지 않았다.

한편, 양씨가 한인이 아니라 선비족 출신이라는 주장도 있다. 아버지 양충 때 북주의 복고 정책으로 "보륙여(普六茹)"라는 성을 받았는데, 이는 선비어로 양(楊)을 의미한다. 그러나 보륙여가 원래 성이고, 한화 정책 때 양(楊)으로 성을 바꾼 것으로 추정된다. 설령 한인이었다 하더라도 선비화된 한인임은 분명하며, 어느 쪽으로 단정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3. 2. 황후

문제의 황후는 문헌황후 독고씨이다.[30] 581년부터 602년까지 황후로 재위했으며, 544년에 태어나 602년에 사망했다.[30] 아버지는 양경왕 독고신이며, 어머니는 기국부인 최씨이다.[30] 능묘는 태릉이다.[30]

3. 3. 후궁

수 문제선화부인 진씨, 용화부인 채씨, 홍정부인 진씨, 궁인 울지씨 등을 후궁으로 두었다.[31][32] 선화부인 진씨는 577년에 태어나 605년에 사망했다.[31] 홍정부인 진씨는 임천공주이다.[32] 궁인 울지씨는 위지경의 손녀이다.

봉호(시호)이름(성씨)생몰년도비고
선화부인(宣華夫人)진씨(陳氏)577년 ~ 605년[31]
용화부인(容華夫人)채씨(蔡氏)
홍정부인(弘政夫人)진씨(陳氏)[32]
궁인(宮人)울지씨(尉遲氏)위지경의 손녀


3. 4. 황자

수 문제에게는 여러 명의 황자가 있었다.[33][34][35][36][37][38][39][40]

-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별칭비고
1방릉왕양용(楊勇)? ~ 604년문헌황후 독고씨[33][34]
2황태자양광(楊廣)569년 ~ 618년문헌황후 독고씨제2대 황제 양제(煬帝).[35]
3진왕양준(楊俊)571년 ~ 600년문헌황후 독고씨[36]
4촉왕양수(楊秀)? ~ 618년문헌황후 독고씨[37][38]
5한왕양량(楊諒)? ~ 605년문헌황후 독고씨[39][40]



첫째 아들은 양용(楊勇)으로, 방릉왕에 봉해졌다.[33][34] 둘째 아들은 양광(楊廣)으로, 훗날 수나라의 제2대 황제 양제(煬帝)가 되었다.[35] 셋째 아들은 진왕 양준(楊俊)이다.[36] 넷째 아들 양수(楊秀)는 촉왕에 봉해졌으나 서민으로 강등되었다.[37][38] 다섯째 아들 양량은 한왕에 봉해졌으나 역시 서민으로 강등되었다.[39][40] 이들은 모두 문제 문헌황후 소생이다.

3. 5. 황녀

수 문제는 슬하에 여러 황녀를 두었다. 낙평공주 양려화는 561년에 태어나 609년에 사망했으며, 우문윤과 혼인하였다.[41][42] 난릉공주 양아오573년에 태어나 604년에 사망했으며, 처음에는 왕봉효와 혼인했다가 후에 유술과 혼인하였다. 양국공주는 하양군공 이장아와 혼인하였고, 광평공주는 안덕현공 우문정례와 혼인하였다.

4. 수 문제가 등장한 작품

2006년 SBS 드라마 《연개소문》에서 배우 김성겸이 수 문제 역을 맡았다.

5. 평가

수 문제는 중국을 통일하고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한 군주로 평가받는다. 과거제, 균전제 등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여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며, 검소한 생활과 백성을 위한 정치를 실천하려 노력했다. 그러나 말년의 실정과 황위 계승 과정에서의 비극은 그의 업적에 오점으로 남는다.

5. 1. 긍정적 평가

5. 2. 부정적 평가

5. 3. 종합적 평가

참조

[1] 간행물 Book of Sui
[2] 간행물 Sui Shu
[3] 서적 Xun Xu and the Politics of Precision in Third-Century Ad China https://books.google[...] Brill
[4] 서적 Bulletin https://books.google[...] The Museum
[5] 서적 Liu Tsung-yüan and Intellectual Change in T'ang China, 773–81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This Culture of Ours": Intellectual Transitions in T?ang and Sung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7] 서적 Asia Major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History and Philology of the Academia Sinica
[8] 서적 China: A History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2009
[9] 간행물 Book of Sui
[10] 간행물 Harvnb
[11] 문서 Creel, What Is Taoism?, 112
[12] 문서 司馬光『資治通鑑』巻175「虞慶則勸隋主盡滅宇文氏,高熲、楊惠亦依違從之。李德林固爭,以為不可。隋主作色曰:「君書生,不足與議此!」於是周太祖孫譙公乾惲、冀公絢,閔帝子紀公湜,明帝子酆公貞、宋公實,高祖子漢公贊、秦公贄、曹公允、道公充、蔡公兌、荊公元,宣帝子萊公衎、郢公術皆死。德林由是品位不進。」
[13] 문서 司馬光『資治通鑑』巻175「隋主潛害周靜帝而為之舉哀,葬於恭陵;以其族人洛為嗣。」
[14] 뉴스 門閥としての弘農楊氏についての一考察 https://koara.lib.ke[...] 三田史学会 1958-10
[15] 뉴스 關於楊堅興起背景的考察 http://ccs.ncl.edu.t[...] 국가도서관 2000-12
[16] 서적 中国の歴史6 絢爛たる世界帝国:隋唐時代 講談社
[17] 서적 대당제국과 그 유산 호한통합과 다민족국가의 형성 https://www.google.c[...] 세창출판사 2015-05-11
[18] 서적 문제 文帝,541~604 https://www.doopedia[...]
[19] 서적 수 문제 https://www.culturec[...] 한국콘텐츠진흥원
[20] 서적 중국역대 인명사전 https://terms.naver.[...] 이회문화사 2010-01
[21] 서적 문제 文帝,541~604 https://www.doopedia[...]
[22] 서적 수 문제 https://www.culturec[...] 한국콘텐츠진흥원
[23] 서적 중국역대 인명사전 https://terms.naver.[...] 이회문화사 2010-01
[24] 서적 문제 文帝,541~604 https://www.doopedia[...]
[25] 서적 수 문제 https://www.culturec[...] 한국콘텐츠진흥원
[26] 서적 중국역대 인명사전 https://terms.naver.[...] 이회문화사 2010-01
[27] 문서 강공(康公)에서 강왕으로 수문제가 격상.
[28] 문서 헌공(獻公)에서 헌왕으로 수문제가 격상.
[29] 문서 환공(桓公)에서 환왕(桓王)으로 [[우문천]]이 격상, 수문제가 환왕에서 태조 무원제로 격상.
[30] 문서 대흥군공부인(大興郡公夫人)/수국공비(隋國公妃)/수왕후(隋王后)
[31] 문서 [[진 선제]]의 황녀.
[32] 문서 [[진 선제]]의 황녀.
[33] 문서 박안후(博安侯)/수왕세자(隋王世子)/황태자(皇太子)/폐서인(廢庶人)
[34] 문서 정신 이상을 명분으로 황태자에서 폐출됨.
[35] 문서 안문군공(雁門郡公)/진왕(晉王)
[36] 인물 양호 (진왕)의 아버지
[37] 인물 월왕/폐서인
[38] 정보 양제 즉위 후 폐서인으로 강등됨.
[39] 인물 폐서인
[40] 정보 양제 즉위 후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양제에 의해 살해됨.
[41] 인물 선제황후/태상황후/황태후/천원대황후
[42] 정보 북주 선제의 황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